파이썬 기초 문법 입문 쉽고 빠르게 배우기

클린코드의 첫걸음, 코드 리팩토링이란 무엇일까?

코드 리팩토링은 소프트웨어의 겉으로 보이는 동작은 바꾸지 않으면서,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드는 핵심적인 과정입니다. 이는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잠재적인 버그를 줄이며, 장기적으로 개발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자라면 반드시 익혀야 할 필수 기술입니다.

목차

1. 코드 리팩토링이란 무엇일까?

코드 리팩토링(Code Refactoring)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결과의 변경 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함’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가 경험하는 외부 동작이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 채, 코드의 내부 설계와 구현 방식을 개선하는 모든 활동을 말합니다.

이는 마치 잘 작동하지만 어수선한 책상을 정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책상 위 물건들의 위치를 바꾸고, 서랍을 정리해도 책상 자체의 기능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돈된 책상에서는 필요한 물건을 더 빨리 찾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듯이, 리팩토링된 코드는 개발자가 더 쉽게 이해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가인 마틴 파울러(Martin Fowler)는 리팩토링을 “소프트웨어의 겉보기 동작은 그대로 유지한 채,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기 쉽도록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이는 클린 코드(Clean Code)를 향한 첫걸음이자 지속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요소입니다.

현대적인 사무실에서 다양한 인종의 팀원이 노트북과 태블릿으로 협업하는 모습

2. 코드 리팩토링은 왜 중요할까?

많은 개발자들이 빠듯한 일정 속에서 “작동만 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리팩토링을 간과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더 큰 기술 부채(Technical Debt)를 쌓는 지름길입니다. 리팩토링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코드 가독성 향상

잘 정리된 코드는 다른 개발자(혹은 미래의 나 자신)가 코드를 읽고 이해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킵니다. 명확한 변수명, 짧고 간결한 함수, 일관된 구조는 그 자체로 훌륭한 문서가 됩니다.

유지보수 용이성 증대

소프트웨어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합니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수정해야 할 때, 잘 구조화된 코드는 수정 범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변경에 따른 부작용(Side Effect)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버그 발견 및 예방

복잡하고 얽혀있는 코드는 버그가 숨어있기 좋은 환경입니다.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의 구조를 단순하고 명확하게 만들면, 논리적 오류나 잠재적인 버그를 더 쉽게 발견하고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개발 속도 향상

단기적으로는 리팩토링에 시간이 소요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코드 이해와 수정이 쉬워져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이는 결국 전체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3. 대표적인 리팩토링 기법

리팩토링에는 수많은 기법이 존재하지만,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 추출 (Extract Method)

하나의 함수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을 때, 특정 로직을 별도의 함수로 분리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함수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각 함수가 하나의 책임만 갖도록 만들어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합니다.

[리팩토링 전]

function printOrderDetails(order) {
  // 고객 정보 출력
  console.log(`고객명: ${order.customerName}`);
  console.log(`주소: ${order.address}`);

  // 주문 내역 출력
  let total = 0;
  for (const item of order.items) {
    total += item.price * item.quantity;
    console.log(`${item.name}: ${item.price} x ${item.quantity}`);
  }

  // 총액 출력
  console.log(`총 주문 금액: ${total}`);
}

[리팩토링 후]

function printOrderDetails(order) {
  printCustomerInfo(order);
  const total = calculateTotal(order);
  printItems(order);
  printTotal(total);
}

function printCustomerInfo(order) {
  console.log(`고객명: ${order.customerName}`);
  console.log(`주소: ${order.address}`);
}

function calculateTotal(order) {
  let total = 0;
  for (const item of order.items) {
    total += item.price * item.quantity;
  }
  return total;
}

function printItems(order) {
    for (const item of order.items) {
        console.log(`${item.name}: ${item.price} x ${item.quantity}`);
    }
}

function printTotal(total) {
  console.log(`총 주문 금액: ${total}`);
}

변수 이름 변경 (Rename Variable)

변수나 함수의 이름이 그 역할이나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지 못할 때, 더 명확한 이름으로 변경하는 기법입니다. `d` 대신 `elapsedTimeInDays` 와 같이 의미 있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가독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킵니다.

매직 넘버를 상수로 대체 (Replace Magic Number with Symbolic Constant)

코드 내에 의미를 알 수 없는 숫자(매직 넘버)를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 의미를 설명하는 이름을 가진 상수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if (user.role === 3)` 보다는 `const ADMIN_ROLE = 3; if (user.role === ADMIN_ROLE)` 와 같이 작성하는 것이 훨씬 이해하기 쉽습니다.

4. 성공적인 리팩토링을 위한 팁

성공적인 리팩토링을 위해서는 몇 가지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작게, 그리고 자주 하라: 한 번에 거대한 리팩토링을 시도하기보다, 작은 단위로 나누어 꾸준히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 테스트 코드를 확보하라: 리팩토링 전후에 기능이 동일하게 동작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 코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테스트 코드는 리팩토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방지하는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 기능 추가와 리팩토링을 동시에 하지 마라: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면서 동시에 관련 코드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먼저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를 개선한 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그 반대의 순서로 진행해야 합니다.
  • 버전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라: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리팩토링 단계를 커밋으로 남겨두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쉽게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리팩토링은 언제 해야 하나요?

A: 리팩토링은 특별한 시간을 내서 하는 것보다 개발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여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전, 버그를 수정하기 전, 혹은 코드를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바로 리팩토링을 해야 할 시점입니다. ‘보이스카우트 규칙’처럼, 언제나 처음 발견했을 때보다 코드를 더 깨끗하게 만들어 놓고 떠난다는 생각으로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리팩토링과 디버깅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디버깅(Debugging)은 코드의 오류(버그)를 찾아 수정하여 소프트웨어가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만드는 과정입니다. 반면 리팩토링은 이미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코드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품질을 높이는 활동입니다. 즉, 디버깅은 ‘기능 수정’에, 리팩토링은 ‘구조 개선’에 초점을 맞춥니다.

Q: 리팩토링을 하면 성능이 향상되나요?

A: 리팩토링의 주된 목적은 성능 향상이 아니라 코드의 구조적 품질을 높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코드가 더 명확하고 간결해지면서 비효율적인 로직이 발견되어 성능이 개선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Optimization)는 리팩토링과는 별개의 활동으로, 성능 개선이 필요할 때 별도로 진행해야 합니다.

이 글이 마음에 드세요?

RSS 피드를 구독하세요!

댓글 남기기